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좋은 펀드로 나의 자산을 100% 증가시키자(#2편)

by 헤리티지 2021. 9. 10.
반응형

좋은 펀드로 나의 자산을 증가시키자(#1편)에 이어서 #2편을 이어가서 적습니다.

 

2편에는 좋은 펀드를 고를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익률

   펀드에 있어서 수익률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수익률이 높으면 높을수록 돈을 많이 벌어들인다는 뜻이고, 그 펀드의 성과입니다. 하지만 제가 얘기드리고 싶은 건 수익률이 다가 아니라는 겁니다. 수익률도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여러 가지 있습니다. 1, 2개월의 단기간 수익률인지 장기간 우상향 하는 수익률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당연히 장기적으로 꾸준하게 우상향 하는 펀드가 당연히 좋겠지요. 또한 시장지수 대비 항상 이기고 있는 건지도 보아야 합니다. 제가 생각할 때는 이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수수료를 줘가면서 펀드매니저에게 맡기는 것이고, 실제로 많은 펀드매니저들도 본인들의 성과를 평가할 때 시장 지수 대비 선방을 했는지 여부가 성과 잣대라고 합니다. 시장이 좋지 않아서 10%로 떨어졌을 때 얼마나 잘 방어했는지, 경제상황이 좋아서 시장 지수가 20%일 때 그 이상의 퍼포먼스를 보였는지가 중요합니다. 

 

2) 펀드 운영사, 매니저 역량

   펀드를 운영하는 자산 운용사들은 매우 많습니다. 네이버에서 검색만 해도 국내 펀드는 이천여 개가 넘습니다. 그것도 네이버에 검색되는 것은 운영규모가 10억 이상인 것들입니다. 이렇게 많은 펀드 중에 어떤 펀드를 골라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힙니다. 저 또한 그렇고 지금도 이렇게 글을 쓰는 동안에도 자산 운용사들은 새로운 펀드 상품들을 고민하고 내놓을 겁니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있는 회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경제 및 시장 상황에서 트렌드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최근에는 배터리 관련 회사들이 잘 나간다면, 이에 맞춰서 새로운 펀드를 자주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유행을 타서 펀드를 많이 만드는 것보다는 꾸준하게  수익을 내는 펀드가 좋습니다. 

  그리고 펀드를 운영하는 펀드매니저의 실력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부분이 정말 어려운데요, 보고서랑 투자하는 대상만 보고 펀드 매니저 실력을 알 기가 쉽지 않습니다. 저도 마찬가지고요. 그래서 저는 펀드의 회전율을 봅니다. 회전율이란 그 펀드 안에 있는 투자 상품(ex 주식)을 얼마만큼 샀다가 팔았다가 하는가입니다. 100%라면 처음의 주식을 전량 다른 걸로 교체했다고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관련 내용은 그 운영보고서나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_http://dis.kofia.or.kr]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회전률이 좋으면, 일반적으로 시장에 잘 대응해 나가고 노력한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이에 반해 본인의 투자 성향이 장기적으로 가치 투자가 성향에 잘 맞다면, 회전율이 낮은 것을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한 가지 전략으로 이러한 두 가지 성향의 펀드를 모두 투자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3) 투자하는 분야 편입항목

     펀드도 매니저가 고객들의 돈을 한번에 모아서 수익률을 위해 주식, 채권 등에 투자를 하게 되는데, 이때 투자하는 주식이나 채권이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가 체크해보아야 합니다. 이러한 투자하는 주식의 종류나 비중등을 꼭 확인하셔야, 자산을 펀드 투자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높은 성과를 낼 수가 있습니다. 

   주식형 펀드 하나만 하더라도 종류에 따라 투자하는 곳이 다릅니다. 이 펀드가 해외 기업에 투자하는 해외주식형인지, 국내 주식형인지, 그리고 투자하는 분야(섹터)는 IT인지, 리츠인지 등등 다르기 때문에 꼭 투자하는 곳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을 까요? 이러한 정보는 투자 설명서 및 보고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이런 것들이 찾아보기가 귀찮다 하시면, 네이버 금융 들어가서 펀드 탭에서 해당 펀드를 검색하면 보기 쉽게 해당 정보들을 알 수 있으니 가입 전에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수수료

    펀드는 전문가(펀드매니저)에게 나의 돈을 맡기면서 운영을 맡아달라고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운영에 대한 보수료가 항상 붙게 됩니다. 이것이 평균적으로 1% 내외 정도인데, 장기간 투자 시 이 차이가 나중에 환매했을시 최종 수수료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선 펀드 구매시 기본적으로 고려할 비용은 수수료와 보수입니다. 

  우선 수수료의 경우 1회성으로 지불한다고 보시면 되고 이에는 선취 및 후취 수수료가 있습니다. 그리고 보수는 매년 비용이 발생한다고 보시면 되고요. 이 보수의 비용이 몇 프로인지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개념으로 펀드의 제목을 보시면 마지막 부분이 Ae, Ce 등과 같은 영어로 된 기호들이 붙어 있습니다. 이를 펀드 클래스라고 하는데요, 수수료를 내는 종류 및 성격에 따라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의 표로 간략하게 정리를 해두었습니다.

펀드 클래스 종류

A, B, C, D의 경우 수수료에 따른 구분으로 대부분 은행에서 가입할 때는 A로 가입되는 경우가 많이 있을 겁니다.

그리고 e, S, J는 가입경로에 따른 구분인데요, 인터넷으로 가입하게 되면 e, 온라인 펀드슈퍼마켓(포스증권)에서 가입시 S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서 가입하는 게 좋을 까요? 기본적으로 수수료 및 운영 보수가 가장 적은 곳에서 가입하는 게 좋습니다. 우선 제가 추천드리는 건 S클래스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다고 말씀드립니다. S클래스는 방금 전에 얘기했던 데로 온라인 슈퍼마켓 전용 클래스인데요, 예전에는 펀드슈퍼마켓이었다가 포스증권으로 바뀌었습니다. 포스증권이란 채널은 자산운용사들이 공동으로 출자해서 만든 펀드전용 판매채널이라고 보시면 되구요, 대부분 선취수수료가 없습니다. 그리고 보수도 다른 펀드판매채널 대비해서 매추 낮습니다. 제 경헙상 일반 판매사(은행, 증권) 대비 보수 비용이 1/3 정도 수준이기 때문에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강력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 펀드 구매 시 고려할 사항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이 되겠네요.

수익률을 볼 시 장기적으로 꾸준하게 변동성 없이 우상향 하는 펀드를 고르자. 
펀드의 운영사 및 매니저의 투자 성향 및 성과를 확인하자.
펀드의 투자 대상을 잘 확인하자.

수수료와 보수가 저렴한 곳으로 고르자. 포스 증권이 수수료, 보수가 많이 저렴한 곳이니 추천

3편에서는 제가 직접 사용하는 포스 증권을 사용하는 법과, 펀드 분산 투자, 펀드 선택 시 주로 보는 지표 등에 대해서

얘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