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

드론(무인항공) 살포시 물량계산 하는 방법

by 헤리티지 2023. 12. 1.
반응형

농업 현장에서 농약을 살포 시에 최근에는 다양한 살포 기구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최근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것이 드론입니다.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계속적으로 줄고 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드론은 농약 살포에 있어서 더욱더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드론을 살포 시에 물량을 어떻게 맞추고, 희석해서 사용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대부분 드론으로 살포하는 농약은 일반적인 관행 방제 보다 저희석배수(고약량)으로 살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드론 살포시 물량을 얼마나 살포하고 희석하는지에 대해서 알기 쉽게 정리하였으니 많은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드론 살포와 일반 관행방제의 차이

 

드론 살포와 일반 방제의 가장 큰 차이는 물량과 약량입니다. 기본적으로 드론 사용할 수 있는 농약의 경우 일반 방제와 비교시에 살포물량과 희석배수에서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당연한 얘기이지만 일반적으로 전작 기준 300평당 150~200L 정도 살포한다고 가정하면, 드론에 등록된 농약의 경우에는 이보다 훨씬 적은 물량인 300평당 16~20L 수준입니다. 거의 열 배 정도 차이가 납니다. 이 말은 즉슨, 희석배수도 10배 정도 더 낮아진다는 얘기고 그만큼 고농도의 농약 희석액을 저물량으로 살포한다는 얘기입니다. 

 

드론 살포로 가능한 농약 알아보는 방법

 

위에서 얘기드린 것처럼 드론으로 농약을 살포할 시에는 고농도의 약제 희석액이 살포되기 때문에 등록되지 않은 농약을 살포하게 되면 작물 약해, 주변작물의 비산, 드론 노즐 및 거름망 막힘으로 인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드론으로 살포 가능한 농약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먼저 농총진흥청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인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는 농약뿐만 아니라 안전사용정보, 농약 판매인교육, 법령 등의 농약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있습니다.

 

농약검색 농약안전정보시스템 바로가기 배너

 

 

2) 해당 사이트에는 등록된 모든 농약에 대한 상표명, 작물, 병해충, 품목(농약의 원제 한글명) 등의 조건으로 검색할 수가 있습니다. 그중 무인항공에 등록된 농약들만 보고 싶으시면 '병해충' 란에 [무인항공]을 입력하시면 조회할 수가 있습니다. 조회된 정보들은 상단의 엑셀다운로드를 클릭하시면 파일화 되어서 다운로드하여서 보실 수가 있습니다. 

농약 안정정보시스템 농약 검색

 

드론 살포시 물량과 희석배수 계산하는 방법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무인항공 농약을 검색하셨다면 살포 물량과 희석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보이실 것입니다. 그런데 조회한 내용 중에 사용량과 희석배수를 보면 조금씩 다릅니다. 하단 그림을 참고하시면 A 케이스의 경우 희석배수가 있고, 사용량에 1.6L/10a가 있으며, B 케이스의 경우 희석배수는 없고, 16ml/10a만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 두 경우의 케이스는 어떠한 차이일까요?

농약 안전정보시스템 농약 검색 화면

 

A 케이스, B 케이스 차이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1) 케이스 A(희석배수가 표기 되어있고, 사용량이 XXL/10a 인 경우)

 

   해당 사항의 경우 사용량 부분에서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량이 위의 이미지처럼 1.6L/10a라고표기 되어 있다면 이는 농약의 사용량이 아니라 살포물량으로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즉 10a(300평) 당 1.6L의 약제 희석액을 살포해야 한다고 이해를 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살포 희석액은 1.6L에 희석배수를 나누게 되면 실제 단위면적당 살포해야 하는 농약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헷갈리실 수 있으니 다시 한번 예로써 설명하겠습니다.

 

 질문 : A라는 농약(액상형태)의 희석배수는 8배, 사용량이 1.6L/10a 일시 10a(300평)에 살포해야 하는 농약 양은?

 답 :  설명 드린 것처럼 희석배수와 사용량이 같이 나올 경우 사용량의 의미는 살포 물량입니다.

      살포물량은 10a당 1.6L를 살포해야 하며 8배 희석을 하기 때문에 0.2L(200ml) = 8/1.6L  가 됩니다.

      정리하면 농약 0.2L와 물 1.4L를 섞어서 10a에 살포하라는 것입니다.

 

 

2) 케이스 B(희석배수가 표기되어있지 않고 사용량이 XXml /10a인 경우)

 

  케이스 B 인 경우 의미하는 사용량은 실제 농약 사용량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6ml/10a의 사용량이라면 이는 10a에 16ml의 농약을 살포하면 됩니다. 그렇다고 물은 얼마큼 넣는지 궁금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물의 양은 현장 사용에 맞게 사용하라는 의미가 됩니다. 즉 10a에 16ml의 농약이 들어가는 것이 중요하고 살포물량은 드론의 스펙과 현장 상황에 맞게 살포하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살포 물량만 있으면 처음 접하시는 분은 물량을 얼마나 살포해야하는지 헷갈릴 수도 있습니다만, 드론의 살포 스펙을 고려했을 시 최소 살포물량은 10a당 3.2L의 살포물량으로 약제를 희석하시면 됩니다. 물론, 작물에 따라 살포 물량을 더 많이 가져가면서 희석배수를 높여 저농도지만 작물에 충분히 희석액이 묻도록 하면 약효는 더 잘나올 확률이 있습니다. 하지만 물량이 많을수록 작업시간은 늘어나기 때문에 현장에 맞게 조정해서 방제를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량과 희석배수의 표기가 약제마다 다른 이유

 

사실 이렇게 희석배수와 사용량의 표기가 조금씩 다른 것은 농약의 항공방제가 예전에는 드론이 아니라 무인헬기가 주로 사용되어왔습니다. 무인헬기의 경우 농약통이 일정 용량으로 정해져 있었기 때문에, 해당 농약 통에 적정한 물량과 농약을 희석하게 하기 위해서 대부분 살포물량이 정해진 상태로 등록이 되어왔습니다. 하지만 드론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무인헬기 기준으로 등록된 희석배수 및 사용량은 드론에 맞지 않는 경우가 꽤 생겨나다 보니 드론으로 농약을 제대로 살포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단위면적당 농약이 정확한 약량으로 들어가는 것이 중요하게 되고 살포 물량은 현장에 맞게 조정하라는 취지로 등록이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쨌든 가장 중요한 건 경작지에 농약을 얼마나 희석하고 물량은 어떻게 설정해서 살포해야 하는지를 등록사항을 보고 도출해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직접 한번 계산해 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농약정보 확인하는 방법, 농약안전정보시스템 이용하여 확인하기

농사를 지으시거나 주말에 텃밭에서 작물을 재배하시는 경우 필수적으로 대부분 농약을 사용하실 것입니다. 하지만 농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그리 많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래

heritagevita.com

 

 

2023년 농어가목돈마련저축 금리 및 가입조건 알아보기

최근 금리가 많이 올라서 대출을 진행하셨던 분들은 높은 이자에 많이 힘들어하실 것입니다. 하지만 돈을 모으는 입장이라면 정기예금 및 적금의 금리도 최근에 꽤 높은 상품들이 꽤 많이 보입

heritagevita.com

 

농업용 방제드론 XAG 모델 알아보기(농약방제 쉽게하기)

최근 농업현장에서 약제 방제를 하는 데 있어서 드론은 필수적인 농기계의 하나로 밭작물, 벼농사의 경우는 대부분 사용이 됩니다. 오늘은 농업용 방제드론은 정말 다양하게 많지만 지난번 포

heritagevita.com

 

 

팜모닝앱 보조금 24로 농업지원금 한번에 조회하기

농업에 종사하시는 분이시거나 귀농을 준비 중이신 분이라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지원 혜택이 궁금하실 것입니다. 하지만 본인에게 맞는 지원금이 어떤 것인지 일일이 알아보기란 너무

heritagevita.com

 

 

농업용 드론(DJI) 알아보기(농약방제 쉽게하기)

현재 우리나라는 농업현장에서 종사하시는 분들의 고령화로 인하여 농사를 짓는 것이 점점 기계화 되어 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주식인 벼는 거의 90% 이상으로 기계화가 되었으나

heritagevita.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