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를 지으시거나 주말에 텃밭에서 작물을 재배하시는 경우 필수적으로 대부분 농약을 사용하실 것입니다. 하지만 농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그리 많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래서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농약안전정보시스템 서비스를 이용하여 농약에 대한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하고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으니 궁금하신 농약의 정보가 있다면 한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목차
농약안전정보시스템은 무엇인가?
농약안전정보시스템은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농약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방법을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농약판매업체, 농약 판매 회사, 농약 사용량, 농약 정보, 농약 사용 지침, 농약 저항성 정보까지 농약과 관련된 대부분의 정보를 여기에서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이용하시면 많은 정보를 쉽게 얻으실 수 있습니다.
농약안전정보시스템을 열람하는 방법은 해당 홈페이지로(https://psis.rda.go.kr/psis/) 로 직접 방문하시거나 검색엔진(구글, 네이버, 다음 등)에서 직접 '농약안전정보시스템'이라고 검색하시면 대부분 검색 상단에 해당 사이트가 노출되어 있으니 바로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농약정보 검색하는 방법
1) 농약안전정보시스템으로 들어가게 되면 다양한 서비스들이 많습니다. 이 중에서 농약 검색을 할 수 있는 탭들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원하시는 작물명, 품목명, 병해충명 등의 정보를 검색합니다.
2) 농약 검색란을 한 번 더 클릭하게 되면 세부 검색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용도나 작물, 병해충 등의 정보를 입력한 후 검색하면 됩니다.
3)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만약 본인이 고추에 진딧물이 너무 많이 생겨 약제를 살포하고 싶고, 단제로만 된 농약을 처리하고 싶어서 알아보는 경우입니다. 이럴 땐 작물란에 고추, 품목명 란의 오른쪽에 단제만 체크합니다. 그리고 병해충명에 진딧물로 검색하고 용도에는 살충제로 선택하면 검색이 가능합니다.
농약 정보서비스 세부 설명
농약 검색을 하였을시 다양한 정보들이 한눈에 보실 수 있으나 일부 헷갈리거나 생소한 단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각 항목에 대한 세부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1) 용도 : 용도는 말 그대로 농약이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살균·살충제 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2) 작물 : 살포할 작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부 작물의 경우 해당 작물에 괄호로 다른 설명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괄호에 설명되어 있는 것은 추가적인 정보이니 당황하지 마시고 그대로 정보를 습득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고추(잎)으로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 고추의 잎에서만 적용이 된다는 듯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3) 적용 병해충 : 검색한 농약에 효과가 입증되어 사용할 수 있는 병, 해충, 잡초입니다. 즉 해당 병해충이나 잡초에 효과가 있어 등록이 된 것이니 사용해도 된다는 뜻입니다.
4) 품목 : 농약의 주성분명과 제형명을 한글로 표기한 것입니다.
5) 주성분 함량 : 농약에 들어가 있는 주성분 함량입니다. 일반 의약품의 경우에도 주성분의 함량이 있듯이 농약도 해당 정보가 농약제품 용기에 표기 되어 있습니다.
6) 상표명 : 제품의 상표이름입니다. 대부분 상표명으로 기억하시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검색을 상표명으로 합니다.
7) 희석배수 : 약제를 물에 얼마만큼 희석하고 사용할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2,000배 희석배수로 표시되었을 때 25말 물량(500L) 기준으로 250ml, 1,000배일 경우 500ml을 농약 사용량입니다.
8) 안전사용시기 : 해당 내용은 시기 횟수로 나누어져 있으며, 시기를 기준으로 했을 때 몇 회까지 사용시 농작물의 잔류에 문제가 없다는 뜻입니다. 최근에 PLS 제도가 시행되면서 해당 정보가 매우 중요해고 특히, 수확기 무렵 마지막 살포를 해야 할 경우 이런 정보를 보고 판단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9) 작용기작 : 농약의 주성분에 대한 작용기작입니다. 살균제, 제초제, 살충제가 분류하는 기준과 작용기작 자체도 완전히 다릅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살균제의 경우 한글(가, 나, 다....)로 구분합니다. 살충제는 숫자와 영어를 같이 표기하여 사용하며, 제초제는 영어와 숫자를 혼합하여 구분합니다. 농촌진흥청에서 이러한 작용기작을 구분한 이유는 최근 농약의 저항성 문제가 커지면서 동일한 작용기작의 연용살포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즉 기호만을 보고 지난번에 어떤 작용기작 약제를 쳤는지 사용자가 쉽게 알아보게 하기 위함입니다.
작물보호지침서 다운로드하기
농약을 접하시다 보면 작물보호지침서라는 책을 접하게 됩니다. 작물보호지침서는 작물보호협회에서 매년 새롭게 등록되는 농약과 변경된 지침사항을 최신으로 반영하여 제공하는 지침서입니다.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는 작물보호지침서의 정보도 바로 볼 수가 있습니다.
원하는 검색 조건에 맞게 농약 정보를 검색했다면 돋보기 모양의 아이콘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바로 검색한 농약에 대한 지침서 내용만 다운받아서 볼 수 있습니다. 작물보호지침서는 국내에 등록된 대부분의 농약 사용 시 주의사항과 농약정보에 대해 알 수 있지만 두께만 해도 5cm 이상으로 무겁고 큰 책이기 때문에 휴대한다는 것은 번거롭고 불편한 일입니다. 그래서 농악안전정보시스템에서 원하는 농약을 검색한 후 지침서를 받아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농약안전정보서비스 다양한 서비스 이용하기
농약안전정보서비스는 농약검색 뿐만 아니라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정보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의 밭에 병이나 해충이 발생했을 경우 가까운 농약방이나 농업 커뮤니티에 물어볼 수 있지만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병해충 정보를 검색해서 알아보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단순히 병해충 정보뿐만 아니라 방제정보까지 알 수 있어 참고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함께 알아두면 좋은 글
농업용 드론(DJI) 알아보기(농약방제 쉽게하기)
현재 우리나라는 농업현장에서 종사하시는 분들의 고령화로 인하여 농사를 짓는 것이 점점 기계화 되어 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주식인 벼는 거의 90% 이상으로 기계화가 되었으나
heritagevita.com
농업용 방제드론 XAG 모델 알아보기(농약방제 쉽게하기)
최근 농업현장에서 약제 방제를 하는 데 있어서 드론은 필수적인 농기계의 하나로 밭작물, 벼농사의 경우는 대부분 사용이 됩니다. 오늘은 농업용 방제드론은 정말 다양하게 많지만 지난번 포
heritagevita.com
팜모닝앱 보조금 24로 농업지원금 한번에 조회하기
농업에 종사하시는 분이시거나 귀농을 준비 중이신 분이라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지원 혜택이 궁금하실 것입니다. 하지만 본인에게 맞는 지원금이 어떤 것인지 일일이 알아보기란 너무
heritagevita.com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론(무인항공) 살포시 물량계산 하는 방법 (0) | 2023.12.01 |
---|---|
23년 농지연금 신청 방법 수령액 조회하기 (0) | 2023.08.26 |
팜모닝앱 보조금 24로 농업지원금 한번에 조회하기 (0) | 2023.08.17 |
농업용 방제드론 XAG 모델 알아보기(농약방제 쉽게하기) (0) | 2023.08.07 |
농업용 드론(DJI) 알아보기(농약방제 쉽게하기) (0) | 2023.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