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농식품에도 다양한 인증마크가 있다는 것 알고 계시나요? '안전한 농식품'임을 인증하는 마크를 알고 구입한다면, 좀 더 안심하고 먹을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국가에서 인증한 녹식품에게 부여하는 녹식품국가인증제도, 마크 중 친환경과 관련된 것들만 완벽하게 정리하였습니다.
1. 농식품 인증정보 확인 서비스
먼저 구매한 농식품이 정말 친환경인지 의심스럽다면 아래의 링크로 바로 가시면 됩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naqs.go.kr)을 접속하면
아래 그림처럼 다양한 인증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친환경인증 농산물 칸의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
원하는 인증의 조회하기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인증정보를 만약 알고 있다면 직접 인증번호 창에 입력하시면 됩니다.
▽▽▽▽
만약 인증정보를 알수 없다면 상세검색 탭으로 넘어가서
구매한 농식품에 있는 내용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2. 알아두면 유용한 농식품 인증마크 종류
2.1. 친환경농산물(유기농)
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과 항생제와 항균제를 첨가하지 않은 유기비료로 재배한 농산물입니다.
2.2. 친환경농산물(무농약)
합성농약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최소화하여 생산한 농산물임을 보증하는 제도
2.3. 농산물우수관리(GAP)
농산물우수관리(GAP : Good Agricultural Practices)는 농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농업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농산물과 농업환경에 잔류할 수 있는 각종 위해요소(농약, 중금속, 미생물 등)를 사전예방적으로 안전하게 관리하는 과학적인 위생안전관리 체계에서 생산하였다는 것을 인증하는 제도
3. 유기농 vs 무농약
위에서 설명드린 인증 마크 있다면 안전한 먹거리라는 것이 인증 되었다는 것이기 때문에 안심하고 드셔도 되지만, 본인이 만약 농약이 살포되지 않는 것을 원할 때는 유기농, 무농약 둘 중 하나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두 인증마크 모두 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다만, 유기농은 농약, 비료 모두 농산물 생산과정에서 합성 농약, 화학 비료 등을 일절 사용하지 않았으며, 무농약 인증마크는 합성농약은 사용하지 않고 비료만 화학비료만 사용한 인증입니다. 즉 유기농이 조금 더 친환경에 가깝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구 분 | 유기농 | 무농약 |
합성농약 | 미사용 | 미사용 |
화학비료 | 미사용 | 최소화 |
'일상 잡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종합증명서 발급 열람 방법 알아보기 (0) | 2023.08.27 |
---|---|
침수 차량 탈출방법 알아보기(태풍 카눈 예방) (0) | 2023.08.10 |
현대카드 M포인트를 현금으로 받는 방법 (0) | 2023.07.31 |
신용카드 포인트를 현금으로 받는 방법(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0) | 2023.07.30 |
미니 굴삭기(미니 포크레인) 구매하는 방법 (0) | 2023.07.28 |
댓글